* void analogReference(uint8_t type)

  : 아날로그 입력의 기준 전압 설정


 # parameter

 - type : 아날로그 입력 기준전압 유형.

   DEFAULT

    ; 아두이노 동작 전압(5V). Due와 같은 3.3V보드인 경우 3.3V이 기본 설정

   INTERNAL

    ; 내부 기준전압 (ATmega168/328은 1.1V, ATmega8은 2.56V)

    ; 아두이노 메가에서는 사용불가. 대신 INTERNAL1V1 또는 INTERNAL2V56 사용

   EXTERNAL

   ; AREF 핀에 인가된 0~5V  사이의 전압 

    

 # return value

  - 없음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* int analogRead(uint8_t pin)

 : 설정된 핀의 아날로그 값을 입력받음


 # parameter

 - pin : analog 값을 수신할 핀번호.

 

 # return value

  - 0~1023 사이의 정수값 [0V~5V 사이의 값을 4.9mV(5V/1024) 단위의 레벨로 반환]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* void analogWrite(uint8_t pin, int value)

  : 설정된 핀에 입력된 아날로그 값을 출력하도록 설정함

  : ATmega168/328과 같이 DAC가 없는 경우 PWM(펄스 폭 변조) 값을 출력 설정.
 

 # parameter

 - pin : digital 값을 수신할 핀번호.

 - value : duty cicle 값. 0~255사이[0V(0%)~ 5V(100%)]의 정수값.

 

 # return value

  - 없음


'Arduin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기본함수] 디지털 입출력  (0) 2017.07.11
Posted by 깡's
,

* void pinMode(uint8_t pin, uint8_t mode)

  : 디지털 입출력을 위한 특정 핀의 입출력 설정함


 # parameter

 - pin : 모드 설정 할 핀번호.

 - mode : 설정할 핀의 모드

   INPUT > 입력모드. 디지털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.

   OUTPUT > 츨력모드. 디지털 값을 출력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.

   INPUT_PULLUP > 내부 풀업저항을 사용하는 입력모드.

 

 # return value

  - 없음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* void digitalWrite(uint8_t pin, uint8_t value)

  : 설정된 핀에 입력된 디지털 값을 출력하도록 설정함


 # parameter

 - pin : digital 값을 출력할 핀번호.

 - value : 출력할 값

   HIGH > 1

   LOW > 0 

 

 # return value

  - 없음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int digitalRead(uint8_t pin)

  : 설정된 핀의 디지털 값을 입력받음


 # parameter

 - pin : digital 값을 수신할 핀번호.

 

 # return value

  - 해당 핀의 digital value

    HIGH > 1

    LOW > 0 

'Arduin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기본함수] 아날로그 입출력  (0) 2017.08.15
Posted by 깡's
,

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filezilla/files/

Posted by 깡's
,

active-power-mode

 

atom-python-run

 

atom-runner

 

autocomplete-python

 

python-indent

 

python-tools

 

 

==================

 

sublime-style-column-selection  : 세로블럭 (https://atom.io/packages/Sublime-Style-Column-Selection)

 

alt  + drag (windows)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highlight-selected : 단어를 더블클릭했을때 해당 파일에 같은 단어들을 표시해 주는 기능입니다.

 

linter : linter는 해당 파일에 문법 오류가 있을때 알려주는 기능입니다. 이 package는 linter 기능을 더해주는 package이고, linter 데이터는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.

 

linter-pylint 

file-icon-supplement : 확장자에 맞춰서 atom 아이콘을 변경합니다.

 

atom-runner : atom에서 alt+R을 눌러 javascript, ruby파일 등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http://mollangk.tistory.com/15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http://tbang.tistory.com/4

Posted by 깡's
,

*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 경로 : /etc/network/interfaces

 

 

1. 유선 설정

 -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
  # sudo vi /etc/network/interfaces

 

 - 다음과 같이 입력(설정)

 

  auto eth0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eth0 활성화

  iface eth0 inet hdcp          # 동적할당

 

  - 정적(수동)할당을 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
 

  auto eth0

  iface eth0 inet static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동적할당

address 192.168.0.2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IP 설정

netmask 255.255.255.0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netmask 설정

gateway 192.168.0.1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gateway 설정

dns-nameservers 8.8.8.8 8.8.4.4        # dns 설정 (2개)

 

 - 네트워크 재시작

  # sudo ifdown eth0

  # sudo ifup eth0

 

 - 'ifconfig' 명령어를 통해 설정 확인

  # ifconfig

 

 

2. 무선 설정

 - 현재연결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확인한다.

  # iwconfig

  -> 보통 장치가 있을 경우 'wlan0'과 같이 네트워크 장치가 표시된다.

 

 -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있지만 비활성화된 경우 (예를 들면 wlan0) 활성화 한다.

  # sudo ifconfig wlan0 up

 

 - 'ifconfig'으로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.

 

 - 접속 가능한 AP를 확인한다.

  # sudo iwlist wlan0 scan

 

 - 검색되는 AP가 있다면 ESSID(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 : AP이름)를 확인한다.

 

 

 -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
  # sudo vi /etc/network/interfaces

 

 - 다음과 같이 입력(설정)

 

  auto wlan0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wlan0 활성화

  iface wlan0 inet hdcp          # 동적할당

allow-hotplug wlan0        

wpa-ssid "ap0"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ESSID가 'ap0'일 경우

wpa-psk "ap0pw"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'ap0'의 비밀번호가 'ap0pw'일 경우

 

  - 정적(수동)할당을 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
 

  auto wlan0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wlan0 활성화

  iface wlan0 inet static          # 정적할당

allow-hotplug wlan0        

address 192.168.0.2             # IP 설정

netmask 255.255.255.0         # netmask 설정

gateway 192.168.0.1            # gateway 설정

dns-nameservers 8.8.8.8        # dns 설정 (2개)

wpa-ssid "ap0"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ESSID가 'ap0'일 경우

wpa-psk "ap0pw"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'ap0'의 비밀번호가 'ap0pw'일 경우

 

 - 네트워크 재시작

  # sudo ifdown wlan0

  # sudo ifup wlan0

 

 - 'ifconfig' 명령어를 통해 설정 확인

 

 

 

* 부팅시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려면 'rc.local'에 추가해둔다.

 # sudo vi /etc/rc.local

 

...

ifdown wlan0

ifup wlan0

...

Posted by 깡's
,

[Git] 로컬 저장소 생성

Git 2016. 11. 25. 10:09

* 로컬 저장소 생성 방법 및 흐름

  (윈도우에서는 보통 git bash, 리눅스에서는 Shell에서 수행)

 

1. 저장소(Repository)로 사용할 디렉토리 생성 (임의로 'git_repo'로 설정)

  # mkdir git_repo

 

2. 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

  # cd git_repo

 

3. 저장소 생성(초기화)

  # git init 

 -> 기본적으로 master라는 이름의 branch가 생성됨.

 

4. 해당 디렉터리에서 작업(소스코드 추가 및 변경. 임의로 test.py)

 

5. git 상태 확인

  # git status

 ->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 git이 추적할 수 없으므로 해당 파일을 git이 추적 가능하도록 변경 파일에 'git add'를 사용하라는 메시지가 나옴

 

6. 작업한 파일을 추적 가능하도록 등록 (임의로 test.py)

  # git add test.py

 -> 여러 파일일 경우 리스트 형태로 나열한다 (ex. git add test.py test2.py )

 

7. 등록된 파일을 저장소에 적용 시킨다.

  # git commit

 -> 적용 시 vi와 같은 에디터가 자동 실행되는데 해당 commit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보통 첫줄에 주석처리 되지 않은 상태로 변동 사항을 간략하게 기술한다. [ git commit -m "변동사항" ] 과 같이 변동사항을 바로 입력가능하지만 큰따옴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다.

 

+ 'git add' 와 'git commit' 처리는 'git commit -a'로 합쳐서 한번에 처리 가능하다.

 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설치 후 기본 정보 설정  (0) 2016.11.15
[Git] Pro Git 번역 문서  (0) 2016.11.14
Posted by 깡's
,

Git 설치 후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설정은 필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
 

(Windows의 경우는 'git bash', Linux의 경우 쉘 프롬프트에서 설정하면됨.)

 

 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 이름"

 
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메일주소

 

 

별다른 메시지(도움말)가 출력되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이다.

 

 

 

 

 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로컬 저장소 생성  (0) 2016.11.25
[Git] Pro Git 번역 문서  (0) 2016.11.14
Posted by 깡's
,

[Git] Pro Git 번역 문서

Git 2016. 11. 14. 13:12

Link - 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로컬 저장소 생성  (0) 2016.11.25
[Git] 설치 후 기본 정보 설정  (0) 2016.11.15
Posted by 깡's
,